*[ 목차 ] Table & Column INSERT SELECT UPDATE DELETE JOIN *[ Table & Column ] - Table 생성(PK, FK, UNIQUE 포함) CREATE TABLE dbo.(테이블 이름) ( column1 datatype [ NULL | NOT NULL ], column2 datatype [ NULL | NOT NULL ], ... column_n datatype [ NULL | NOT NULL ] ); 예시) CREATE TABLE dbo.tb_user ( user_seq INT IDENTITY(1, 1) NOT NULL, user_id VARCHAR(30) NOT NULL, user_name VARCHAR(20) NOT NULL, age INT, dep..
*[ 목차 ] Sequence Table & Column INSERT SELECT UPDATE DELETE JOIN *[ Sequence ] - Sequence 생성 CREATE SEQUENCE (시퀀스 이름) [INCREMENT BY n1] [START WITH n2] [MAXVALUE n3 or NOMAXVALUE] [MINVALUE n4 or NOMINVALUE] [CYCLE or NOCYCLE] [CACHE or NOCACHE]; -> increment by n : 증가값 (default 1) -> start with n : 시작값 (default 1) -> maxvalue n | nomaxvalue : 최댓값 (nomaxvalue default 10*E27) -> minvalue n | nomi..
현재 회사에서 서버 인턴 개발자로 Spring Boot 개발(Angular.js도 조금씩)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때, 프로젝트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종류별로 구축하고 테스트할 일이 있어서, 1주일 정도는 데이터베이스만 내내 다룬 것 같다. 이 과정에서 각 데이터베이스 별로 SQL문을 정리하면서 진행했는데, 확실히 처음에 정리를 해두니까 나중에 새로 만들거나 수정할 일이 있을 때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했다. 그래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종류(Oracle, MSSQL, PostgreSQL, MySQL, MariaDB)별로 SQL문을 정리한 것과 더불어,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SQL문을 정리해 포스팅하려고 한다!
Spring을 처음 시작하려고 검색을 해보니 Spring Boot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첫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빨리 실행시켜보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그 전에 Spring Framework에 대한 개념을 대략적으로 짚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Spring] Spring 즉, Spring Framework에 대한 위키백과 정의는 다음과 같다.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 주변..
내가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올해부터 4학년에 접어드는만큼 공부하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사람과 공유하며 성장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나는 평소에 서버 개발에 관심이 많은데 주로 Django와 DRF(Django REST Framework)로 서버 개발을 진행해왔다. 그리고 올해부터는 블로그 운영 시작과 함께 Spring Boot를 추가적으로 공부하려고 한다. 또한, Database와 AWS 사용법 등을 익히면서 전반적인 서버 개발 역량을 키우고 싶다(프론트도 조금씩 ㅎㅎ) 웹을 공부하면 할수록 아직까지 배워야할 내용이 너무 많고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느끼지만 성장에 초점을 맞춰 꾸준하게 노력한다면... (보통 마무리를 어떻게 하지) - GitHub: ..